자동 형 변환
- 정수 +정수 = 정수
- 정수 +실수 = 실수
강제 형 변환 : 자료형(값)
ex) 10.98
==>print( int (10.98) ) : 10출력
문자형 변환
chr(정수) : 정수를 문자로 변환
ord(문자) : 문자를 정수로 변환
※아스키 코드
컴퓨터가 문자를 기억하고 있는 정수 값
ex)print("%c" %65) ==> A
print("%c" %97) ==> a
회원가입 시 사용자의 비밀번호나 개인정보를 암호화 할 때 아스키 코드를 사용함.
더보기
print(chr(ord("A")*9 ))
#대문자 A를 정수로 변환하면 65
#65에 *9를 하고
#그 값을 문자로 변환하면 다른문자가 출력됨
pw = "q1w2e3r4"
en_pw = "" #암호화
de_pw = "" #복호화
for i in pw:
en_pw += chr(ord(i) *9)
print("기존 비밀번호: {}".format(pw))
print("암호화된 비밀번호: {pw}".format(pw=en_pw))
for i in ed_pw:
de_pw += chr(ord(i) //9)
print("암호화된 비밀번호: {}\n복호화된 비밀번호: {}".format(en_pw,de_pw)
'Study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어문[반복문 :for문] (1) | 2024.01.07 |
---|---|
제어문[조건문 : if문] (0) | 2024.01.07 |
연산자의 우선순위 (1) | 2024.01.07 |
자료형과 print() (0) | 2024.01.05 |
파이썬의 특징 (0) | 2024.01.05 |